아트이음 홈

류재현
쪽지보내기
받는사람  류재현
쪽지 발송 중입니다...
친구 상태 설정

친구추가를 하게 되면 블로그 이용 시 제약을 덜 받게 되며,

류재현님의 새로운 소식을 제일 먼저 받아 볼 수 있습니다.

상태 변경 중입니다...
적용 닫기
visitor : 24697 today : 1
VITA
출생

1964년 전라북도 전주 출생

학력

전북대학교, 대학원 졸업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주요 개인전

2023 기린미술관/전주
2022 전라북도립미술관서울관/서울
2021 유휴열미술관/완주
2019 숨갤러리/전주
2019 청운갤러리/전주
2018 세종갤러리/서울
2018 잇다스페이스/인천
2017 필립즐로갤러리/파리
2017 우진문화공간/전주
2017 가나아트센터/서울
2015 가나아트센터/서울
2015 필립즐로갤러리/파리
2013 통인옥션갤러리/서울
NH세종금융센터/서울
89갤러리/파리
2012 서신갤러리/전주
인사아트센터 전북도립미술관 분관/서울
2010 서신갤러리/전주
2008 한국소리문화의 전당/전주

주요 단체전

2019 뿌리,줄기와 잎이 되다/미술세계갤러리/서울)
2019 FOREST전 (갤러리조은/서울)
2019 아트 쑤저우(쑤저우/중국)
2018 호남의 현역작가전(광주시립미술관/광주)
2018 모모미술관 개관 기념 초대전(모모미술관/삼례)
2017 경남국제아트페어(창원프레스센터)
2016 한일미술교류전(전북예술회관/전주)
2016 여수국제아트페스티벌(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여수)
2015 「한일국교정상화50주년기념」한일미술교류전/주센다이총영사관/센다이)
2015 한국미술작가초대전(한국문화원/상해)
2014 전북미술의 조류(강소성미술관/중국)
2014 전북미술의 큰 바탕전(한국소리문화의전당/전주)
2014 Like the first time(숨갤러리/전주)
2013 화랑미술제(코엑스/서울)
2013.6 호산옥션(리츠칼튼호델/상하이)
2013 전북나우아트페스티벌(소리문화전당/전주)
2013 KIAF(코엑스/서울)
2013 AAF Singapol(싱가폴)
2012.6 호산옥션(리츠칼튼호텔/상하이)

레지던시 및 수상경력

2012 Cite internationale des art 레지던시(가나아트/파리)

Text
[작가노트] 내안의 숲길
내안의 숲 길...
류 재 현

나는 농사를 짓는다.
사범대학을 졸업하고 시작한 27년간의 미술교사생활을 퇴직하고 이젠 그림과 농사가 내 생활의 전부가 되었다. 농사라고 하기에는 보잘 것 없는 규모긴 하지만 그래도 나의 식구가 먹을 배추며 무, 고추, 오이, 고구마, 쌈채소 등을 직접 키워낸다. 헤아려 보면 스무가지는 족히 되고도 남겠다. 올해엔 처음으로 표고버섯까지 수확했으니 제법 농사로서의 품목을 갖췄다 하겠다.
본디 꽃을 좋아해서 좋아하는 꽃을 맘껏 키워보고 싶어 시골에 조그마한 땅을 마련하고 들어오게 되었다.
이곳에서 청명한 파란하늘과 바람을 벗 삼아 꽃을 키우고 채소를 심고 가꾸며 숲길을 걷는 것이 내 일상이 되었고 그 일상이 그대로 내 그림이 되었다.
길이란 인생의 항로에 비유되기 때문에 예술에서는 상징적인 의미와 기호적인 의미를 동시에 지녔다고 생각한다. 길은 대학을 졸업한 무렵부터 지금까지 삼십여년을 집착하는 모티브였고, 나는 이 길의 여러 가지 모습들을 통해 죽음과 자연과 생명의 본질에 대한 생각들을 표현해왔다. 그리고 시골 생활을 시작한 그 무렵부터 나는 숲속에 난 조그만 오솔길로 들어선다.
숲과의 교감은 인간으로서 걸칠 수 밖에 없던 온갖 허울을 벗어 버리게 하고, 가장 고요한 상태로 마음을 안정시키며 섬세한 감각의 문을 열어준다. 그리고 내 안으로 시선을 돌리면 우주와 함께 호흡하는 나를 발견하게 된다.
몇 년 전 어느 봄날 나는 스케치북에 이런 글을 써놓았다.
“오늘은 햇살이 참 좋다. 바람도 적당히 불어와 풀이며 나뭇가지들을 이리 저리 흔들고 있다. 6월의 숲의 색깔은 말 그대로 싱그러운 초록으로 가득하다. 조금 시간이 더 지나 7월이 되면 숲의 색은 초록이 너무 지쳐 맑고 상쾌하지가 않다. 태양도 너무 높게 올라 그 그늘은 너무 짙고 어둡다. 8월이 지나고 9월의 한 가운데를 지나갈 무렵엔 벌써 초록은 빛를 잃기 시작한다. 그래서 일년 중 이때가 내가 숲을 담아내기에 가장 좋아하는 시절이다. 태양이 동남쪽으로 오르고 있을 무렵, 그리고 서쪽으로 기울 무렵 비스듬이 나무들을 쓰다듬으며 내려올 때의 빛이 참 좋다. 이때 나뭇잎들은 역광의 햇살을 받아 아이의 속살이 보이듯 맑고 투명한 보석처럼 반짝인다.
맑고 투명한 햇살이 나뭇잎 사이를 내려와 비치는 풀들이 무성한 오솔길 위에 서서 길을 바라본다. 이 길을 따라 내가 왔고, 또 이 길을 따라 내가 걸을 것이다. 그리고 무수히 많은 누군가도 이 길을 따라 걸었으며 또 걸을 것이다. 이 길에는 모든 생명들의 역사가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그 생명들이 지금도 이 빛과 바람과 함께 살아가고 있다. 그 시간들을 지금 멈춰선 이 찰라의 순간에 담아 표현하고 싶다.“
나의 작업은 바람결에 떨리는 녹색과 연두 빛 풀들의 작은 일렁임까지 감지하기 위하여, 작고 부드러운 모필로 그어대고 또 그어댄다. 가느다란 선과 터치의 무수한 반복과 겹치고 중첩되는 과정 속에서 화면에 원래 발라두었던 검정색 바탕이 미세한 틈으로 보이게 되고, 그 틈 사이로 내밀한 호흡이 느껴지도록 화면을 조율해 나간다. 이것은 치열한 붓질의 반복적 과정을 통하여 적막한 사유의 세계를 열어 보여 내 자신의 심혼(心魂)을 감지해 보려는 일련의 행위이며, 겹치고 중첩되는 붓질은 숲속 길에 겹겹이 쌓여진 생명들의 시간들이며, 그것은 바로 숲과 바람과 빛을 통하여 내 자신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려는 자의식과도 같은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내가 숲을 통해 받은 그 감명을 그대로, 통째로 내 그림을 보는 이들에게 전하고 싶은 미련한 몸짓이다.
나는 언제나 눈앞에 펼쳐지는 푸른 숲이 좋다. 녹색의 향연이 좋고 나뭇잎과 흙냄새를 이리저리 싣고 다니는 바람의 흔적이 좋다. 당초문마냥 이리저리 뻗은 칡넝쿨, 키 넘게 훌쩍 자란 들꽃과 숲길 사이로 쏟아져 들어오는 생명과도 같은 그 영롱한 햇살이 좋다.
녹색과 연두색의 숲속은 신비한 푸른빛으로 빛날 때가 있다. 시원한 바람 솔솔 부는 초록빛 그 숲길에 서면 내 마음은 풍요로움과 싱그러움이 가득차고 흘러야 할 시간은 저만치서 멈춰선 듯하다.
어쩌면 숲 속의 현자는 바로 우리 자신일 것이며, 마음 속 숲길을 따라가다 보면 깊은 내면의 세계와 만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평론] Thinking the way while walking in the forest.
Choongwhan Ko, Art Critic


Robert Frost, an American poet, meets a crossroads when walking in the forest. He selects one of the roads, keeps going, and expresses his desiderium in his work 'The Roads Not Taken'. As the title implies, the mark of this poem is not put on the selected road but, rather, the unselected road. Life is just like this. Human consciousness lies in the practical life they have lived until now, but also seeks other life which they did not choose but could have chosen.
Luckily or unluckily, humans can separate their body from consciousness and send their consciousness far away from the body. And this consciousness floats in the outer area of presence. Double or multiple dissociation of consciousness may be a condition of existence and a sign of human irrationality. Jacques Lacan's word, "I am not here now or I am not in what I am saying" should be understood in this way.
Returning to the poem, the road we did not select may be the one we could not. Or, the road we did not select is different from the one we could not. In real life, we often meet a crossroads and have to choose to go in one direction. We choose our road in a, seemingly, active manner. But, in actual fact, our decision may be entirely passive. From a broad point of view, fate and inevitability can be an active choice. Yet, on the other hand, it can be considered an intentional elimination from a narrow point of view. But, nobody knows which is right. It is clear that a human lives in only half of life. This lack is another condition of human existence and marks self-dissociation. Also, this lack is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art, coincidentally.
Road is road. And a road is a metaphor for life. There are several useful concepts in explaining life metaphorically. Of them, the most influential thing is a road. Film is usually regarded as the most popular form of art. Within this genre, there is even a sub-genre which we know as "a road movie". The artist Jaihyun Ryou is famed for drawing roads. They are the consistent topic of his art. For him, a road is a road itself - a metaphor for life above all - and a pretext which reflects his attitude to life.
In a few words, a road is a symbol of life and existence. His painting of a forest road is a common crossroads which can be encountered readily. At the crossroads, one can enjoy the sensible pleasure of all that a crossroads entails. One can also be absorbed in wondering why the roads are crossed, and which way other people chose. Like this, Ryou's drawing can convey to us the honest enjoyment of a road itself, an opportunity to wonder about the people who passed this road - their presence, their future.
How has Ryou been drawing roads? From when did he pursue it? It originated at the sudden death of his pupil. Sadly, one of Ryou's students died in the street between school and his home. The artist had to face the unexpected car accident and unacceptable reality. The landscape of the street looked perfectly negative. Perhaps this landscape also seemed negative to his pupil right before he died - it might also have seemed very strange to him suddenly. 'Negative' is a shade which looks conversely, meaning a color, and symbolizes an reversion or denial at the same time. It represents a psychological presence we refuse to accept. Thus, the artist offers a flower to this understandable presence, to the road, to the death. From that day, like this, the artist began to draw roads. He decided to draw the things that we encounter in our lives, but can not accept well, maybe even not recognize. For the first time, a road was not a road itself for him. It was not a value-neutral, gender-neutral, abstract, conceptual symbol. It was an actual place which accidents happened and a reality which remembered them as traces. But since then, it has come to mean a more universal concept. It represents existential and ontological conditions as a metaphor for life.
At first, for Ryou, a road was a clear reality connected with real accidents. However, from that time, the road has become relatively more implied in his drawings. Forests, which includes a road, can be seen better than road itself in his paintings. The landscape carries more weight than road itself, while walking. The road of the forest is drawn, I would say. The road of his drawing is very detailed and vivid, and arouses déjà-vu. The forest, which fills up the whole picture, draws us into a real forest - although there are some exceptions. It suggests that we will be able to know the names of trees, flowers and weeds only if we have a little knowledge of nature. Forests, which hold the darkness and the light covering the dark green color with warmth and softness, are vivid expressions in which we can feel the wind and atmosphere through transparent, swinging leaves.
What is the reality of this vivid feeling? How can I explain it? It is clear that he saw and felt it in detail himself. Perhaps he walked slowly, squatted down and observed it. And then, he may have transferred this vivid feeling onto the canvas.
At this moment, let's pay attention to his lifelong topic - the road. There are several ways to pass a road; on foot, by car or by plane.
According to Walter Benjamin, walking is a course of assimilation of world and subject. On the other hand, other modes of travel just skim the edge of the world. Literal methods of transportation simply go over the roads. To go over the road seems the same but it is inherently different in its most significant parts - the process or the destination.
According to Benjamin, the true value of life is put not on the destination, but on the process. Through this process, walkers are subjects who are assimilated into the world and search for the character of the world. Civilization is a portion of walkers and, in particular, mental civilization is made by the walkers of this civilization. 'Soyoyoo' 'Soyoyoo' refers to a state of mind in which one is perfectly calm, free and objective, and does not have any negative feeling such as offense, heartbreak, arrogance, anger and grief.
by Chuangtzu can also apply to Benjamin's version. This concept comes from the course of searching for the life of city, but is not much different in case of nature. We are able to know who smells the breath of nature and life, and who search for the features of nature.
There must be subjects who create, foster, and ponder whether it is civilization or nature.
When he draws forests, he moves from dark colors to light ones. So, most of the forest is still filled with darkness. Thus, the darkness is a true character of the forest. Or, true characters of the forest are hidden under the darkness. To be hidden is agnostic. Humans can not approach this with their perception, nor explain with their knowledge. That's why it is a forest. If the forest is perfectly understood by human perception, its mystery unveiled, and its myth deprived, it will be no more forest but materials. Forest is perfectly different from materials. It is not possible for forest to be ascertained or understood from materials. The artist distributes adequate light into the dusky forest. This light looks like a nest which the moody forest holds. When we see a drawing of a forest described in this kind of unrealistic detail, as if it were embroidered stitch by stitch, we can enjoy the true character of forest and be absorbed in thoughts of the forest road and its true nature.
[평론] A small sway to attract us just like a certain magnetic power.
Sun-Tea Kim, Art Critic
1.
I do not remember when, but I have been accustomed to easily drawn paintings. Artists who draw easily without much effort look more tactful rather than those who put a lot of time and effort honestly. Gladly, we have participated in this kind of aesthetic play through concepts such as post-modern style borrowing or parody. Based on this aesthetic play, works of Jaehyun Ryu are done with the opposite viewpoint. With exact sight and accurate description, he observes materials and draws decent paintings faithfully.
His works involving much labor are the ones which draw simple materials such as grass or trees. And rather than a voluminous work, his works consist of many small paintings which draw grass and trees around forest paths. However, here, small paintings only refer to the size of painting. In this situation, contents and spirits of his works grasp the scene of painting with considerable density.
The paths of the forest in his paintings are filled entirely with light green and green colors in the forest, outside the forest, between the forests, and describe nature. They express a characteristic of vivid life which sketches a feature of nature. They also perceive even a small sway of grass shivering on the wind.

2.
It is not new that forest paths can be chosen as a material for painting, drawn differently by respective artists. The important thing is not an artist, object, time and method but perfect harmonization of materials. In this context, Ryu's attitude and effort for forest paths in his works are very serious and pathetic like a truth-seeker.
Although his working style such as struggling with time sometimes looks indifferent, his style seems relaxed to transcend anything. However, it comes from his deep observation, expression with love and respect about nature.
When I see the paths of the forest in his paintings, a certain magnetic power takes me to a pathetic and abysmal place. Life of realistic and fundamental meaning looks vanished, where is only quietness and loneliness in the forest.
Describing each grass leaf, soon he is accustomed to very realistic expression and even excerpt internal consciousness and shape of nature from the material.
Through well-organized composition, stable tone and exact dessin, his painting builds a microcosm, rather than partial reflection of nature. Though his pictures start from a part of nature, complete spatiality of his picture makes us feel the nature as a universal meaning, beyond the reproduction of nature.
When we look into his working style, his forest of light green and green color is filled with tiny drawings of numerous thin lines and touches. Lines drawn by soft paint brush fill the canvas like a needlework, stitch by stitch.
So, the surface of his painting is calm and shows variable change. His paintings which may look monotonous bring out the quiet and meditative dense atmosphere through elaborated paint brush and sturdy oil painting.
Small paint brushes which are stuck in many folds and based on the black color sometimes become the forest energy and leave the resonance of silence.
Through repetition of numerous touches and overlapping process, the black basic color of painting can be seen from the tiny crevice. From this crevice, we can feel secret breath and his painting comes to us with string's depth. It is very ironic that the repetitional process of severe paint brushing opens the lonely world of thinking. A banquet of green color made by numerous brush painting is never felt as plein air of the impressionism, but the reflection of his deep soul. The reflection is acquired through the forest and the light of wind, which relates the fact that they want to confirm their existence.
Squeezing into between many branches and leaves of unknown forest and thinking with their rhythm, he would like to reflect himself to it. As a result, he reaches the empathy of sharing with the daily world, not psychologically but holistically.
From there, we can find consciousness and viewpoint of human and society. Recovery of nature damaged by human and injured human mentality co-exists. So, we can say that his paintings are not simple landscapes, but materials and colors of nature are colors of consciousness created randomly, and lie from his inner world. It is the very moment that the passion such as a faith for nature is reproduced as a life force.

3.
Nowadays, young artists tend to avoid heavy manual work. The artistic trick which reverses common ideas of the audience is connected with the play of viewing. Pursuit for new and fast things is really popular these days. In this situation, artists armed with professional artisanship make us curious with freshness.
Paintings of the forest path by the artist, Jaehyun Ryu really make modern people feel the aesthetics of real slowness and the source of fundamental life and civilization, since modern people are suppressed by weight of life which is complicated and polluted.
[평론] 모종의 자장력을 느끼게 하는 작은 일렁임
1.
언제부터인지 우리는 힘들이지 않고 그리는 회화에 익숙해졌다.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는 우직한 작가보다는 별반 힘들이지 않고도 그런 효과를 내는 작가가 재치 있어 보인다. 이른바 포스트모던 차용이니 패러디니 하는 개념을 통해 우리는 그런 미적 유희에 기꺼이 동참해 왔다. 그러한 미적 유희에서 볼 때 작가 류재현의 작품은 정반대다. 치밀한 묘사력과 정확한 눈으로 사물을 응시하며 '그림다운 그림'을 그리는 데 충실 한다.
고도의 수공을 요구하는 그의 작품은 단순한 소재인 풀과 나무를 그리는 작업이다. 그리고 대작이라기보다는 숲길을 중심으로 풀과 숲을 그린 소품들이 주류를 이룬다. 그러나 소품이란 단순히 그림의 크기를 지시하는 것일 뿐, 그림 속에 담긴 내용과 정신은 결코 작다고 할 수 없는 밀도감으로 화면을 장악하고 있다. 온통 연두색과 녹색이 빼곡히 채워진 숲길로, 숲 속에서 숲 바깥에서, 숲과 숲끼리, 그리고 자연성에 관한 것이다. 자연의 특징을 한마디로 압축하여 보여주는 살아 움직이는 생명의 자연을 표현하는데, 녹색과 연두 빛에 깊이 감추어진 바람결에 떨리는 풀들의 작은 일렁임까지 감지할 수가 있다.

2.
숲길은 누구나 소재로 삼을 수 있고 작가에 따라 자기의 방식으로 그릴 수 있으므로 그런 것을 그린다는 게 별로 새로울 수는 없을 것이다.
다만 누가 무엇을 언제 어떻게 그렸다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얼마만큼 어떤 소재를 완성도 깊게 조형화 했느냐가 더 중요한 것이다. 그런 맥락에서 류재현이 숲길에 공들이는 노력이나 자세는 구도자처럼 처연하고 진지하다. 시간과의 싸움과도 같은 작업방식이 때로는 너무 무심하게 보일지라도, 그러한 태도가 모든 것을 초탈 한 듯 여유로워 보이지만 그것은 자연을 음미하면서 자연에 대한 깊은 애정과 경외를 지닌 작가의 속 깊은 관찰과 표현 방식에서 나온 결과물이다.
그의 숲길 그림을 보고 있노라면, 비장하고 더러는 깊이를 알 수 없는 먼 곳으로 마음들이 한꺼번에 쓸려가는 듯한, 모종의 자장력에 이끌려 들어간다. 현실적 의미의 삶도 근원적 의미의 삶도 모두 텅 비어 자취를 감춘 듯한, 숲과 풀잎에는 인적 없는 적막함과 고요함이 있을 뿐이다.
풀잎 하나하나를 묘사하면서 어느덧 극사실적 표현이 손에 익어 자연과 사물을 단순히 정밀묘사 하는데 그치지 않고, 등장시킨 대상으로 하여금 자연 너머의, 또한 자연 내면의 의식과 모습을 발췌해내고 있다.
짜임새 있는 구도, 안정된 토운, 정확한 데생력 등을 통해 그의 화면은 자연의 일부가 투영된 것이라기보다는, 그 자체로서 하나의 소우주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므로 그의 그림들은 비록 자연의 한 부분으로부터 출발하기는 하였지만 그림 자체가 갖는 완결된 공간성은 특정한 자연의 재현을 넘어서서 보다 보편적인 의미에서의 자연을 느끼게 한다.
작업방식을 보자면, 연두색과 녹색의 숲은 무수한 가느다란 선과 터치로의 자잘한 붓질로 채워져 있고 부드러운 모필로 그어댄 선들이 한 땀 한 땀 바느질한 것 마냥 캔버스를 메우고 있다. 그래서 표면은 잔잔하면서도 변화무쌍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데, 자칫 단조롭게 보일 수 있는 화면은 그런 조심스러운 붓질과 유채의 견고함으로 고요하고 명상적인 분위기를 짙게 우려내고 있다.
캔버스 검은 밑 색을 바탕으로 겹겹이 올려진 작은 붓질은 때론 숲의 기운이 되고, 때론 침묵의 여운을 남기기도 한다.
무수한 터치의 반복과 겹치고 중첩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화면에 원래 발라두었던 검정색 바탕이 미세한 틈으로 보여 진다. 그 틈 사이로 내밀한 호흡이 느껴지며 화면은 오묘한 현(玄)의 깊이로 다가온다. 치열한 붓질의 반복적 과정이 오히려 적막한 사유의 세계를 열어줌은 매우 역설적이다. 그것은 마치 무수한 붓질을 통해 나온 녹색의 향연은 결코 인상파의 외광처럼 느껴지지 않고 작가의 심흔(深痕)의 투영으로서 감지된다. 투영을 숲과 바람의 빛을 통해서 성취하되 이것들의 내면에서 자신을 그리고 자신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려는데 관련시키고 있는 것이다.
낯선 숲의 무수한 가지들과 잎 새들 속을 비집고 들어가 그것들의 율동에 따라 생각하며 그것들에다 자신을 투영해 넣고자 한다. 그럼으로써 결국 그는 일상의 세계와 공감하고 공명하려는 감정이입을, 심리적으로가 아니라 전인격적으로, 혹은 존재론적으로 처리하는데 도달하고 있다.
거기엔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의식과 시각이 깊게 드리워져 있다고 볼 수 있다. 인간에 의해서 훼손되고 변질돼버린 자연의 원상회복과 황폐하고 마멸된 인간 심성의 근원 회복이 동시에 맞물려 있는 것이다. 그래서 그의 화면은 단순한 자연풍경이라고만 말 할 수 없으며, 자연에 등장하는 대상과 빛깔들은 작가 자신의 내면에 잠재하고 있는 그리고 수시로 생성되는 의식의 컬러하고 할 수 있다. 그것은 바로 우리가 늘 그리워하고 돌아가고자 하는 자연의 숨결이 내밀하게 숨 쉬고 있으며, 자연에 대한 신앙과도 같은 열정이 화면 속에 육화된 생명력으로 재탄생되는 순간과도 같은 것이다.

3.
요즘 젊은 작가들은 지나친 수공을 피하는 경향이 있다. 관람자의 통념을 뒤집는 예술적 트릭은 관람의 유희로 연결된다. 새롭고 빠른 것에 대한 조급함이 대세인 미술계에 장인정신으로 무장한 작가들은 신선한 호기심을 발동시킨다.
작가 류재현의 숲길 그림은 복잡하고 환경이 오염된 시대에 삶의 버거움을 느끼는 현대인들에게 인간의 원초적 삶과 문명에 대한 근원과 진정한 느림의 미학을 진실로 느끼게 해주는 그림이다.

2008. 8
김선태 미술평론가
[평론] 숲에서 만나는 내면의 빛
노 해남 / 서양화가


초감각적 경지에 들어선 류재현 작가에게 이즘(ism)은 무의미하다. 인터넷에 ‘류재현’ 작가를 검색하면 하이퍼리얼리즘(Hyperrealism)작가로 소개된다. 사진보다 더 정교하게 사물을 모사하여 현실과 그림의 경계를 혼동하게 하는 극사실주의를 추구하는 작가 중의 한 사람으로 지나치기 쉽다. 그러나 류재현의 작품은 극사실의 너머에 있다. 그의 그림들은 즉물적이거나 단순한 현실고발의 한 지점에 머무르지 않는다. 소박한 자연의 풍광들을 오래도록 숙련된 회화적 감수성으로 새롭게 창조하여 보여주는 그의 화폭을 보고 있노라면 이 세계는 무한하게 긍정적이고 친밀하게 다가온다.
많은 화가들이 그렇듯이 우리도 새내기 대학시절 아무런 개념도 갖추지 못한 채 맹목적인 현대미술의 기법들만 반복하면서 마치 그것이 전위적인 작업인양 착각한 적이 있었다. 서양과 동양의 정신사적 경계를 극명하게 구분하면서 그 어느 한쪽만이 옳다고 믿고 고착된 적도 있다. 미술 교사가 되어서는 부조리한 학교 현장의 상황들을 다양한 시각적 방법론으로 풀어내고 미래교육가치에 대한 바램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기도 했다. 자신의 정체성을 발견하기 위한 몸부림은 좌충우돌 계속되었다. 그렇게 오랜 세월 동안의 우여곡절을 겪고 지금의 류재현 작가가 있다.
젊은 시절 그와 경쟁적으로 사진기법에 몰입한 적이 있다. 그때의 리얼리즘 정신은 현재 작품들인 ‘길’ 시리즈에 잘 녹아 있다. 초기 작품들은 사진의 네거티브 기법을 차용했다. 내용도 부정적이었지만, 한때 시대정신에 뒤떨어진다는 리얼리즘 미술에 대한 강박관념으로 왜곡을 미덕으로 여겼던 적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질곡들은 그리 오래 가지 않았다. 평소 성실하고 종교적인 그에게 한적한 시골 작업실 주변의 풍경들이 정겹게 다가온 것이다. 그 특별하지 않은 일상적 풍경들은 예술가의 용광로에서 정제되고 단련되어 드라마틱한 빛의 공명을 울린다.

자신의 글에서 밝힌 것처럼 류재현은 “바람결에 떨리는 녹색과 연두빛 풀들의 작은 일렁임까지 감지하기 위하여, 작고 부드러운 모필로 그어대고 또 그어댄다.” “오래고 고된 겹치고 중첩되는 붓질은 숲속 길에 겹겹이 쌓여진 생명들의 시간들이며, 그것은 바로 숲과 바람과 빛을 통하여 내 자신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려는 자의식과도 같은 것이다. 이것은 내가 숲을 통해 받은 그 감명을 그대로, 통째로 내 그림을 보는 이들에게 전하고 싶은 미련한 몸짓이다.”
치열한 붓질의 반복적 과정을 통하여 비로소 환한 빛 아래 드러나는 적막한 사유의 세계. 현실의 숲을 붙들었으나 사실은 그의 오랜 마음 속 숲길이었을 그 풍광들을 따라가다가 우리는 깊은 내면의 세계를 만난다. 류재현 작가의 ‘길’ 시리즈가 단지 ‘도로’가 아닌 작가의 내적 성찰을 향한 구도의 과정, 사유의 길에 관한 고백임을 간파하게 되는 대목이다.

류재현의 기법 자체는 서양의 전통적인 유화기법을 따르면서도 그 필획은 진경산수의 대가들처럼 정확하고 유려하다. 서양의 자연주의 화가들이나 표현주의 화가들처럼 두터운 물감의 중량감이나 투박한 붓터치가 거의 없이 평면성을 유지하면서도 풍성한 공간감을 보여준다. 그 공간을 창조해내는 붓의 미려하면서도 치밀한 반복성은 인내와 더불어 노련한 경지를 느끼게 한다. 류재현 작가의 작품 앞에 서면 그림에 대해 문외한들도 “이야” “우와” 감탄사와 함께 순식간에 시각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류재현의 붓끝에서 발현된 빛의 자기장으로 빨려든다. 그 찰나 보잘 것 없던 초목들이 무한한 생명력을 지닌 빛의 전령으로 다가와 사람들의 영혼을 위로한다.
어둠에서 광명으로, 빛을 향한 집요한 그의 여정은 여느 자연주의 화가들의 유물적 사고와 전혀 다르다. 사람들은 그의 구도자와 같은 고난의 붓질과 빛으로 화한 아름다운 숲에서 자연의 신비와 더불어 평온한 안식을 얻는다.
[평론] Inner light encountered in the forest.
Ro Hea-nam / artist

‘-ism’ is not significant for Ryou who already attained a state of hyper-awareness. He is generally introduced to an artist of Hyper-realism in an internet search for him. He can be misconceived as an artist of Extreme-realism since he reproduces the material much more in detail than the photo. However, his works are beyond the extreme-reality. They do not remain in thingism nor in simple accusation of reality. Looking at his works which show simple scenary of nature, which was newly created with his pictorial sensitivity skilled for a long time, the world approaches us with infinite positiveness and familiarity.

As many other artists have done, we were not aware of any concept exactly in our university days. Thus, we blindly repeated techniques of modern art, and were confused them with the avant-garde work. Also, we used to stick to either-or-not approach, differentiating western style from oriental one radically. After we became an art teacher, we tried to solve real absurd situation of education with various visual methodology, and express our desire for value of future education actively. We continued to struggle for finding our identities with a great deal of trouble. Long after these kinds of difficulties, an artist, Ryou appeared as he is now.

Both he and I used to be absorbed competitively in realistic description when young. The spirit of the realism at that time is found in a series of his works, “The Way.” He adapted negative techniques of photography in his early works. The contents were negative, and we used to regard the distortion as good due to the pressure of the realism art. However, this kind of distortion did not last a long time. Scenary around his rural and quiet studio approached Ryou who was originally sincere and religious. That plain and ordinary scenary is refined and disciplined in the artist’s furnace, and sounds the resonance of light dramatically.

He told in his writings, “I draw and draw with small and soft brushes so as to perceive even tiny swaying of green or light green grass on the wind.” “My brush stroke which is old, tough and overlapped is a time of life laid in layers in the path of forest. It is just like self-consciousness which confirms my existence through the forest, the wind and the light. Besides, it is a stupid gesture which tries to convey the impression received from the forest to people who appreciate my works.”

The world of lonesome thinking appears under the bright light only after the repetitive process of tough brush stroke. We held the forest of the reality at first, which may have been the way from the forest of mind a long time ago. Walking along that way, we encounter our deep inner world. This is the point we understand a series of his ‘The Way’ works is not a simple road, but a seeking process for inner-reflection.

His techniques follow the oil-painting ones of the western convention, but his brush stroke is very exact and elegant like great artists of oriental landscape painting. His brush touching keeps plane almost without rough brush touch or weighty sentiment of thick oil colors like artists of western naturalism or expressionism, and also shows rich space perception. Elegant and elaborate repetition of brush which creates that space makes us feel his patient and skilled state. People who stand in front of his works, even amateurs of art, form visual sympathy, and are rapidly immersed to the magnetic world of light revealed by his brush stroke with the exclamation “Ah!, Oh!”
At that moment, ordinary plants and trees change into the messenger of light which has infinite vital power, approach people and console their spirit.

His persistent process searching for the light from the darkness is perfectly different from the materialistic thinking of artists of naturalism. People take tranquil rest with the mysteries of nature, thanks to his bitter brush stroke like a truth-seeker and beautiful forest which finally turns out the light.
[평론] Poiysemous Allegory in Landscape of naturalism that reflects both road and gaze
Emotional reflection on nature
In the painting of artist, Ryou, Jai Hyun, philosophical thought and profound observation were indicated. His painting embraces beautiful natural scenery that shows color of nature in various compositions. The subtle brushstroke embodying fawn in forest, tree, grass leaf, flower, and slight breeze, is the reminder of the artist, himself, who is smitten by Jean-Jacques Rousseau’s point of view on nature. His keen observation of nature is well reflected through detailed brushstroke with excellent depiction. Also his landscape painting shows nature that is not being corrupted by people yet which is based on his experience of nature. And his landscape painting differs from others due to his inserting empathy on ever-changing nature. It is also witnessed in his artist’s note about color of light in the change of season.

“Forest in June is full of refreshing green. Green in July is no longer same or fresh. Sun also is too high and bright: it makes deep shadow over forest. As it is close to fall season, it loses its color.(…) Leaves in June glows like diamond.”

The process of inserting empathy in his work is the reminder of "projecting oneself onto the object of perception." by T. Lipps. Lipps says that when artist adapts himself to nature, positive insertion of ‘empathy’ happens. As object and human becomes one, object carries the same emotion and life as humans do. Therefore his paintings portray this ‘positive insertion of empathy’ in realistic way.

Various layers of road
If you look at his work closely, you will find continuity of road, which seems to be hidden but obvious and vise versa. This also shows his artistic attitude toward philosophy that might be translated as symbol of unconscious desire and ideal which might be the reflection about journey in life. There is also evidence in his artist’s statement:

“On the road of forest, intense and vivid sun shines through leaves of trees. I followed this path and will keep on going, so as others. This road is the manifestation of every living thing in history. ”

He keeps on wondering about identity of existence and continues the notion of adaptation of Sisyphus. His work, Road series, is evidence of allegory, which shows his endless passion for road that cannot be reached or seen. Therefore for him finding a hidden road in landscape is inevitable not to embrace.

The gaze of deer
He starts to show interest in white fawn that is pure and important in his work. This fawn doesn’t show itself utterly but in distance. It might be resting, lost or sometimes trapped in bushes in the wood. However they all gaze directly at viewers. The direct eye contact with viewers of white fawn in the painting demonstrate unconscious desire that philosopher J. Lacan mentioned. The gaze of deer can be interpreted as Lacan’s moment of exchanging eyes between the subject of desire and transition of object. Also this gaze becomes straight consensus, because the deer is the confession of external projection of internal lacking of himself. By engaging the look of deer in his work, he reflects his inner hollowness or even yearning. Besides by showing realistically depicted deer in his painting expresses his well-adapted reception of reality as metaphor through Lacan’s theory. Parrhasius and Zeuxis’ s paintings were analyzed as ‘negative gaze’ due to the use of curtain image in ‘Lacanian gaze’. However there is no symbolic curtain in his work.
His landscape painting is the outcome of many layers of brushstrokes of dark and light green, which leads to peaceful color changing and never-ending pathway. Also diverse composition in his background and direct gaze of deer engages its solid influence and sensibility at best. Continuous road and the innocent look of lost fawn show transi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which have been about path in past, present and future. The reflection on them shows hidden allegorical thinking being embedded.

Kim, Hyang Sook
(Art critic, adjunct professor in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rawing and painting department)
[평론] 숲을 걷다가 길을 생각하다
미국의 시인 로버트 프루스트는 숲속을 산책하다가 갈림길을 만난다. 그리고 한쪽 길을 선택해 걸어가면서 미처 가보지 못한 다른 한 길에 대한 아쉬운 마음을 시 <가지 않은 길>에 담았다. 제목이 암시하듯 이 시의 방점은 간 길보다는 가지 않은 길에 찍힌다. 인생도 마찬가지. 흔히 사람들의 의식은 자신이 살아온 삶이며 지금 살고 있는 삶이 아닌, 자신이 미처 살아보지 못한 삶이며 혹 자신이 살았을 수도 있는 삶을 향한다. 행인지 불행인지는 모르나 인간은 몸과 의식을 분리시켜 의식을 몸 밖으로 멀리 내보낼 수가 있다. 그리고 그 의식은 대개 현재에 정박하지 못한 채 현재의 변방을 떠돈다. 어쩌면 이중분열과 다중분열은 인간의 실존적 조건일지도 모르고, 부조리한 인간을 증명해주는 징후일지도 모른다. 나는 지금여기에 없다거나, 나는 내가 하는 말 속에 들어 있지 않다는 자크 라캉의 말은 그런 의미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다시 시로 돌아가 보면, 가지 않은 길은 어쩌면 가지 못한 길일지도 모른다. 가지 않은 길과 가지 못한 길은 다르다. 살아가다 보면 허다한 갈림길에 맞닥트리고 선택의 기로에 선다. 그때마다 나는 능동적으로 한 길을 선택하는 것 같지만, 한 발짝 비켜서 보면 그 선택은 수동적으로 선택되는 것일지도 모른다. 거시적 관점에서 운명과 필연이 미시적 관점에서 적극적인 선택과 의식적인 배제로 비칠 수도 있는 것이다. 그 가부를 누가 알랴. 분명한 것은 인간이 반쪽 삶을 산다는 것이며, 따라서 결여가 자기분열과 함께 인간의 또 다른 실존적 조건이라는 사실이다. 그리고 공교롭게도 결여는 예술이 존재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예술은 말하자면 삶이 결여하고 있는, 삶을 보충해줄 수 있는, 삶의 이유를 해명해줄 수 있는 일에 복무하는 것일 수 있다.

길은 길이다. 그리고 길은 삶의 메타포이기도 하다. 삶을 비유하기 위해 호출되는 개념들이 여럿 있지만, 그 중 가장 유력한 경우가 길이다. 오죽하면 가장 대중적 예술인 영화에는 로드무비라는 장르가 따로 있을 정도이다. 작가 류재현은 시종 길을 그린다. 그리고 길은 작가의 일관된 주제이기도 하다. 그에게 길은 길 자체이면서, 동시에 그리고 무엇보다도 삶을 은유하며, 삶에 대한 작가 자신의 태도를 반영하고 드러내는 구실이며 계기이기도 하다. 한마디로 길은 삶의 상징이며 존재의 상징이다. 작가는 숲길을 그린다. 그 길들 중에는 더러 숲속을 걷다가 실제로 무심결에 맞닥트릴 법한 갈림길도 있다. 그 길 앞에서 나는 길 자체가 주는 감각적 쾌감을 즐길 수도 있고, 왜 갈림길인지, 다른 사람들은 그 갈림길 중 어느 길로 갔을지, 그리고 그렇게 가 닿은 길 끝에는 무슨 일이 기다리고 있었을지 사색에 빠질 수도 있다. 그렇게 작가의 그림은 길 자체의 감각적 쾌감을 즐길 수 있게 해주고, 그 길 위를 지나쳤을 사람들의 현실과 현재에 대한 이런저런 생각에 빠져들게 만든다.

그렇다면 작가는 어떻게 길을 그리게 되었을까. 언제부터 길이란 주제에 천착하게 되었을까. 제자의 죽음이 그 계기며 동기가 된다. 학교와 집 사이를 오가는 도로 위에서 제자가 죽었다. 그리고 작가는 예기치 못한 교통사고며 받아들일 수 없는 현실 앞에 선다. 그 길 위의 풍경은 온통 네거티브로 보였다. 아마도 제자가 죽기 전 마지막으로 본 풍경이 그랬을 것이다. 세상이 졸지에 낯설게 보였을 것이다. 네거티브는 실제와는 거꾸로 보이는 음영이며 색깔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반전이며 부정을 암시하기도 한다. 받아들일 수 없는, 인정하기 싫은 심리적 현실을 대리하는 것이다. 그리고 작가는 이처럼 이해할 수 없는 현실 위에, 길 위에, 죽음 위에 꽃 한 송이를 바친다. 그렇게 그 날 이후 작가는 길을 그리게 되었다. 삶을 살아가면서 맞닥트리는 이해할 수도, 받아들일 수도, 인정할 수도 없는 일들을 그리기로 한 것이다. 그렇게 처음에 작가에게 길은 길 자체가 아니었다. 그 자체 가치중립적이고 중성적이고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기호도 아니었다. 어떤 사건이 일어난 실제 하는 장소였고, 그 사건을 흔적으로서 기억하고 있는 구체적인 실체였다. 그리고 이후 길은 점차 좀 더 보편적인 개념을 의미하게 되었다. 삶의 메타포라는 실존적이고 존재론적인 조건을 표상하게 되었다.
이처럼 처음에 길은 구체적인 사건과 연동된 것인 만큼 그 실체가 뚜렷했다. 그런데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는 그림들 속에서 길은 비록 없다고는 할 수가 없지만 그 실체가 상대적으로 더 암시적이게 된다. 그림들을 보면 길보다는 그 속에 길을 품고 있는 숲이 먼저 눈에 들어온다. 길보다는 길을 걷다가 보이는 풍경에 방점이 찍힌다. 굳이 말하자면 숲길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 그림 속 숲길은 흡사 사진이나 자연도감을 연상시킬 만큼 그 실체가 손에 잡힐 듯 세세하고 생생하게 그려져 있어서 언제 어디선가 가본듯한 기시감을 불러일으킨다. 여기에 예외가 없지 않지만 대개는 화면을 풀사이즈로 가득 채우고 있는 숲이 마치 실제로 숲속에 들어와 있는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몰라서 그렇지 자연에 대한 약간의 지식만 있으면 그 숲속에 자라는 나무며 꽃들과 들풀들의 종류를 알아볼 수 있을 것 같다. 어둠을 품고 있는 숲과 어둑한 초록을 부드럽고 따스하게 감싸는 빛, 투명하게 하늘거리는 나뭇잎들 사이로 흐르는 바람의 질감과 대기의 기운이 감지될 것 같은 생생한 느낌이다.
마치 실제로 숲속에 들어와 있는 것 같은 이 생생한 느낌의 실체는 무엇이며 어떻게 설명할 수가 있을까. 분명한 것은 작가가 세세하게 보고 느꼈다는 사실이다. 모르긴 해도 느릿하게 걷다가 쪼그려 앉아서 들여다보기도 하고 그렇게 본 것을 생생한 느낌으로 전이시켰을 것이다. 여기서 다시, 작가가 시종 천착해온 길이란 주제에 주목해 보자. 길을 지나가는 방법에는 여러 질이 있다. 걸어서 지나갈 수도 있고, 자동차를 타고 지나갈 수도 있고, 비행기를 타고 날아갈 수도 있다. 발터 벤야민은 이 가운데 걸어서 가는 방법을 세계 속으로 들어가 세계와 주체가 하나로 동화되는 과정이며 행위라고 본다. 이에 반해 이동수단을 이용하는 방법은 다만 세계의 곁을 스쳐지나갈 뿐이다. 이동수단은 말 그대로 길을 건너가게 해주는 수단에 지나지 않는다. 길을 건너가는 것은 하나같지만 과정에 방점이 찍히는 경우와 목적(지)에 무게중심이 실리는 경우가 다르다. 벤야민이 보기에 진정한 삶의 태도는 과정에 있지 목적에 있지가 않았다. 그리고 그 과정을 통해 세계에 동화되고 세계의 품성을 탐색하는 주체가 산책자들이다. 문명은 산책자들의 몫이며, 특히 정신문명은 이 문명의 산책자들이 만든 것이다. 장자의 소요유에 해당하는 벤야민 식 버전으로 보면 되겠다. 비록 도시의 생태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유래한 개념이지만 자연이라고 해서 그 경우가 다르지는 않을 것이다. 자연의 숨결이며 생기는 누가 맡을 것이며, 자연의 본성은 누가 캐는지 생각해보면 될 일이다. 문명이든 자연이든 그것을 만들고 가꾸고 사색하는 주체는 따로 있는 법이다.
작가는 숲을 그릴 때 어두운 색깔부터 밝은 색깔 순으로 그려 나간다. 그래서 숲 그림의 대부분이 여전히 어둠 속에 잠겨 있고, 따라서 마치 어둠이 숲의 본성 같다. 혹은 어둠 속에 숲의 본성이 숨겨져 있는 것 같다. 숨겨져 있다는 것은 불가지론이다. 인간의 인식이 가 닿을 수가 없고 인간의 지식으로 해명할 수가 없다. 그래서 숲이다. 인간의 인식에 자기를 다 내어준 숲, 신비의 베일이 벗겨진 숲, 신화를 박탈당한 숲은 더 이상 숲이 아닌 한갓 질료에 지나지 않는다. 숲과 질료는 다르다. 숲은 질료로 환원되지가 않는다. 작가는 어스름한 숲속에 적당한 빛을 분배한다. 그 빛이 마치 어둑한 숲이 품고 있는 둥지 같다. 마치 한 땀 한 땀 수놓듯 일일이 세필로 그린, 비현실적일 정도로 세세하게 그려진 숲 그림이 살아있는 숲의 본성을 향유하게 하고, 숲길이며 길의 본성에 대해서 사색하게 한다.
고충환(Kho, Chung-Hwan 미술평론)
[평론] 자연주의 풍경화에 투영된 ‘길(road)’과 ‘응시(gaze)’의 다의적 알레고리
감성이 투영된 자연
류재현(Ryou, Jai Hyun)의 자연주의 풍경화에는 화가의 자연에 대한 철학적 사유와 관조의 눈이 투영되어있다. 캔버스위에 펼쳐진 풍경은 빛이 스쳐지나가는 밝고 어두운 자연의 색채와 다양한 구도를 마음껏 펼치며 수려한 자연의 풍광을 드러내고 있다. 숲속의 어린사슴과 나무와 풀잎과 꽃과 연못에 스며드는 잔잔한 바람의 살랑임을 느낄 수 있을 정도의 섬세한 붓질은 “자연으로 돌아가라”는 루소(Jean-Jacques Rousseau)의 자연예찬에 동화된 화가의 모습을 떠오르게 한다. 그의 풍경은 무위자연의 순수한 눈에 보이고 경험한 자연의 실재를 바탕으로 자연에 대한 섬세한 관찰과 세세한 모필을 통해 묘사능력의 탁월함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시시각각 변하는 자연환경에 감정이입(Einfühlung)으로 스며드는 심리적 진동의 울림을 표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여느 풍경화와는 차이를 보인다. 자연을 향한 섬세한 감정이입의 과정은 계절의 변화를 빛의 색채로 인지한 작가노트에서도 발견 된다.

“6월의 숲은 싱그러운 초록으로 가득하다. 7월이 되면 숲의 색은 초록이 너무 지쳐 맑고 상쾌하지 않다. 태양도 너무 높게 올라 그 그늘은 짙고 어둡다. 8월을 지나 9월의 한 가운데를 지나갈 무렵 초록은 벌써 빛을 잃기 시작한다.(...) 6월의 나뭇잎들은 역광의 햇살을 받아 아이의 속살이 보이듯 맑고 투명한 보석처럼 반짝인다.”

작가노트에 나타난 감정이입의 과정은 철학자 립스(T. Lipps)의 “대상의 의인화”를 환기시킨다. 립스는 화가가 자연에 동화되어 자연을 의인화할 때 충만하게 감정이 이입된 상태이며 ‘긍정적 감정이입’의 현상이 나타난다고 언급했다. 즉 대상과 본인이 혼연일체가 될 때 그 대상은 인간의 감성과 같은 생명을 얻게 되는 것으로, 류재현의 풍경은 긍정적 감정이입의 몰입을 사실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다양한 층위의 길(road)
류재현의 풍경화를 조금 더 가까이서 관조하면 ‘감추어진 듯 드러난, 드러난 듯 감추어진’ 서로 다른 길(road/path)의 연속성을 찾아 낼 수 있다. 그 길은 찬찬히 성찰하는 사람에게만 보이는데 숲속의 다양한 층위의 길(road)은 인간의 서로 다른 꿈이며 무의식의 욕망과 이상을 갈망하는 상징으로 삶의 표상이자 굴곡진 여정을 드러내는 그의 예술철학이 담겨있다. 그가 인지한 다양한 길의 철학적 사유는 작가의 독백에서도 발견되어 진다.

“맑고 투명한 햇살이 나뭇잎 사이를 내려와 비치는 풀들이 무성한 오솔길 위에 서서 길을 바라본다. 이 길을 따라 내가 왔고, 또 이 길을 따라 내가 걸을 것이다. 그리고 무수히 많은 누군가도 이 길을 따라 걸었으며 또 걸을 것이다. 이 길에는 모든 생명들의 역사가 기록되어 있다.”

그는 존재의 정체성에 의구심을 품고 끊임없는 열정으로 저 멀리 보일 듯 보이지 않는 잡힐 듯 잡히지 않는 길을 향해 시지프스의 순응을 이어가고 있다. 도달한 것 같으나 그 순간 끝없는 신기루처럼 사라져 보이지 않는 길(road)의 매력에 빠져 열정을 다한 작업이 ‘길 시리즈(road series)’의 알레고리이다. 펼쳐진 자연과 더불어 살며 자연에 이입된 존재로 풍경에 감추어진 길(road)의 발견은 화가의 미술적 감각이 고스란히 배어나온 필연의 주제이다.


사슴의 응시(gaze)
류재현은 풍성한 자연 어느 곳엔가 작은 존재감을 드러내는 순수하고 고귀한 자태의 흰색 어린사슴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그 사슴은 자신의 모습을 온전하게 드러내지 않은 채 약간의 거리를 두고 잠시 쉬어가는 듯, 혹은 가야할 길을 잃은 듯 보이며 때로는 숲 속 덤불에 갇혀있으나 모두 맑은 눈망울과 불안한 자태로 관람자를 정면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공통점을 형성하고 있다. 관람자를 정면으로 응시하고 있는 흰 어린사슴의 모습에는 라캉이 언급한 화가의 무의식적 욕망이 투사되어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사슴의 응시는 자연의 질서에 이입되어 자연친화적인 화가와 정서적 교감을 나누는 순간으로 라캉이 대상을 응시하는 과정에서 욕망의 주체와 대상의 전이를 느낀 것과 같은 감성이 꿈틀거리는 찰나이다. 그리고 이 사슴의 응시가 화가에게 직접적인 교감으로 느껴진다는 고백은 자신의 삶을 응시하고 있는 내적 결여의 외적투사인 사슴이 무의식적 욕망의 상징적 알레고리로 작용하고 있음을 감지했기 때문이다. 류재현은 자신의 작품 속 사슴을 응시하며 스스로의 내적관조를 연결고리로 주체와 대상의 전이 순간의 발화를 이미지로 현실화하고 있다. 이는 화가의 내적열망의 깊이를 드러내는 것으로 실존의 불안을 결코 채워질 수 없는 욕망의 응시를 통해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또한 류재현이 수려한 자연풍경에 사슴을 감추지 않고 드러내며 사실주의로 재현하는 작업은 그가 사회에 긍정적으로 순응하고 있음을 라캉의 이론을 통해 메타포(metaphor)로 해석할 수 있도록 여지를 남겼다. 라캉은 제욱시스와 파라시우스의 작품을 응시이론으로 분석하며 커튼으로 가려진 파라시우스의 작품을 ‘부정적 응시’로 언급했는데 류재현의 작고 흰 사슴에는 상징적으로 가려진 커튼이 없기 때문이다.

류재현의 풍경화는 밝고 어두운 초록색 톤을 겹겹이 터치하여 파생되는 그윽하면서도 평화로운 색상의 변화를 보여주며 밝은 빛을 향해 나아가 끝이 없는 길로 인도한다. 화가가 추구해왔던 삶의 전개는 풍경안의 다양한 각도의 길과 덤불로 뒤덮인 숲에서 길을 잃은 사슴의 응시를 통해 응집력을 구축하며 감수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시작도 끝도 없으며 숲속 무한히 펼쳐진 다양한 열망의 길(road)과 순수한 흰색의 길 잃은 어린사슴의 응시는 주체와 객체의 전이를 통해 함께 갔던 곳, 가고 있는 곳, 가야하는 곳 그리고 개척해야하는 길에 대한 성찰로 류재현은 현재 그 안에 숨겨진 알레고리적 사유에 침잠하고 있다.


김향숙(미술평론가, 홍익대학교 대학원 회화과 겸임교수)
[스크랩] 빛으로 붙든 실재와 상상 _ 생명의 온기 가득한 류재현의 그림
류재현 작가의 그림을 처음 봤을 때 한 폭의 사진 같다고 생각했다. 혹시 포토샵 처리를 한 것은 아닐까 싶어 캔버스에 두 눈을 가까이 대고 자세히 살펴봤다. 붓 터치가 보이는 걸 보니 분명 사진이 아니고 그림인데 사진보다 더 사실적이고 아름답다. 조금 거리를 두면 꼭 사진처럼 보이는 그림을 포토리얼리즘 작품이라고 하는데, 류재현 작가의 <길> 연작은 차라리 꿈의 세계를 그린 초현실주의 작품이라고 말하고 싶어진다. 숲속에 난 ‘길’을 모티브로 작업한 연작 중 하나(116.8cm x 72.7cm, 2014)에서 작가는 숲 속 길 위에 흰 사슴 한 마리를 그려 놓았다. 보통의 숲에 흰 사슴이 있을 리가 없기 때문에 이 그림은 실재하는 숲과 상상 속의 사슴이 공존한다. 작가가 직접 관찰한 숲속 풍경에 그가 평소에 상상하고 희망해오던 것을 사슴에 투영해 그렸을 것이다. 숲 속의 시간은 오전 열 시나 오후 서너 시 쯤 햇빛이 비스듬히 숲 속에 비추는 시간이다. 연두색과 싱싱한 녹색이 가득한 숲속은 한국에서라면 5월 말에서 6월 중순 사이, 늦봄에서 여름이 오기 전이다. 아마도 며칠 전 비가 내렸을 것이다. 사람들이 오고간 흔적엔 아직 물기가 남아 있고 숲속의 나뭇잎들은 투명하고 맑다.

작가가 그리고자 하는 대상은 결국 자신의 마음을 반영하는 풍경이라고 한다면 류재현 작가가 붙든 것은 숲의 가장 좋은 때, 생명이 가득 차오른 순간이다. 한여름 태양에 지친 나뭇잎들과 더운 공기를 그리지 않았다. 작가는 무거운 옷을 걸치고 사우나에 들어가 있는 것처럼 답답하거나 지친 모습으로 살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나뭇잎들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가을이나 추위에 얼어붙은 겨울의 빈 가지들을 그리지 않았다. 삶이 쓸쓸하거나 추운 것이라야 예술가답게 사는 것이라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술가도 얼마든지 행복하게 살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예술의 역할 중에서 하나는 세상에 행복을 보여주는 것일 수도 있다고 확신하기 때문이다. 작가는 어떤 감상에 젖어야 스스로에게 위로가 되는 멜랑꼴리 수준을 넘어서 정신적으로 정화된 수준에 와 있다.

작가의 마음 공간에는 그의 그림처럼 늘 연두색과 녹색이 가득하다. 나이 쉰 중반에 이른 그의 마음을 차지한 계절은 청춘의 가장 좋은 때로 비유되는 5, 6월의 봄이다. 이 점이 바로 그가 삶의 하루하루를 맞이하는 태도다. 젊음과 생명이 약동한다. 지친 내 마음이 언제나 봄인 그의 마음을 닮을 수 있으면 좋겠다. 내 성정은 가을 쪽에 가까운 편이어서 음악을 들어도 낙엽 지는 소리, 비 내리는 소리를 담아내는 쪽을 좋아했다. 류재현의 그림을 보고나니, 내게 다가올 모든 날에, 늘 마음에 봄이 가득하다면, 이제 시들어져 가는 쪽이 자연스럽다고 생각했던 내 삶에도 연두색이 싱싱하게 호흡하는 생명의 멜로디가 가득할 것만 같다.

류재현 작가는 왜 ‘길’에 주목했을까? ‘길’은 철학적이기도 하고 문학적인 단어다. 미국의 시인 로버트 프로스트는 그의 시 ‘가지 않은 길’에서 ‘길’을 모티브로 시를 썼다. 프로스트의 시에서 '두 갈래 길'은 인생에서의 선택과 결정을 은유한다. 농장 생활 경험을 살려 소박한 농민의 삶과 자연을 노래했다고 하는 프로스트처럼 류재현 작가는 농사를 지으며 그림을 그린다. 사범대학 미술교육과와 대학원을 졸업한 작가는 27년 동안 학교의 미술 선생님으로 살았지만 예술과 순수한 삶을 위하여 새로운 길을 선택해 일찍 교직을 접었다. 이제는 농사를 짓고 그림 그리는 일이 그의 인생 한복판에 자리를 잡았다. 그의 집이자 아틀리에는 숲 가까이에 있다. 그는 그곳에서 배추며 무, 오이, 상추, 표고버섯 등 가족 먹거리를 농사 지으며 그림을 그린다. 자연 속에서 살며 자연을 관찰하고 자연을 배우며 자연 속에서 스스로가 자연이 되고 싶은 순수함만으로 살아가고 있다.

그가 조석으로 바라본 숲을 캔버스에 옮기는 그의 공력을 보면 그의 성정이 어떠한지 추측해볼 수 있다. 작고 부드러운 모필로 한 땀 한 땀 떠내듯 섬세하게 계속된 붓 터치를 보고 있으면 정성도 이런 정성이 없구나 싶어 절로 감탄이 나온다. 부모가 자신과 닮은 아이를 낳듯 화가는 결국 자기 내면과 닮은 그림을 그린다. 류재현 작가의 경우는 자신의 내면뿐 아니라 외모까지도 닮은 그림을 그린다고 적고 싶다. 그는 자신의 가슴에 섬세함과 부드러움, 티끌 하나 속세에 물들지 않으려는 순수함을 간직하고 있다. 그의 외모가 주는 인상을 묻는다면, 나는 그냥 그의 작품을 보라고 말하고 싶다. 자상하고 순수한 얼굴빛에 밝고 평안한 미소를 짓는 그를 보면 작품은 결국 작가를 닮는 것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내가 류재현 작가와 작품을 처음 본 것은 2015년 1월 전주 MBC 창사 50년 기념전시 기획 ‘한국미술작가 중국 상해 초대전’이 열린 상해 한국문화원이었다. 나는 상해에서 20년 한중무역을 한 경험을 바탕으로 류재현, 이주리, 이정웅, 이기홍 4인 초대전을 공동주최하고 현지 사정을 조율하고 대처하는 주관자 역할을 맡았다. 미술 분야, 그것도 판매에서는 문외한이었던 나는 1월 16일 오프닝 행사를 시작으로 일주일 진행된 이 전시회에서 20점의 작품을 판매하는 기록을 세웠다. 타고난 적극성과 상인의 기질을 십분 발휘하여 참가 작가들의 작품을 고루 팔았는데 그때 첫 판매 작품이 숲속에 흰사슴이 등장하는 류재현 작가의 작품이었다. 이 작품의 콜렉터는 상해에서 도급 순위 5위 안에 드는 대형 건설회사의 회장인데 나와는 10여 년 전부터 만났던 사이였다. 그가 오리라고 생각조차 못했는데 전시장에 있던 내 앞에 턱하고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는 자기 딸이 시집갈 때 선물로 주겠다며 나에게 류재현 작가의 작품 중에서 한 점을 추천하라고 했다. 류 작가 작품에 단박에 끌린 눈치였다. 나는 그에게 흰 사슴이 그려진 작품을 추천하면서 딸 방에 작품을 걸어두면 흰 사슴이 딸의 친구가 될 거라고 말해주었다. “딸이 작품 속의 사슴을 바라보면 사슴도 작품 밖의 딸을 바라보며 대화를 나눌 것이다. 사슴은 딸의 친구가 되어 딸이 혹시 울면 왜 우냐고 물을 것이고 딸이 기뻐하면 왜 기쁜지 물을 것이다. 거꾸로 딸도 어떤 날은 사슴이 외로울 거라고 생각하고 어떤 날은 사슴이 행복하겠다고 생각할 것이다. 딸은 사슴과 대화를 나누면서 성장해갈 것이다.” 딸이 시집갈 때 선물로 주겠다고 했으니 딸이 이 작품을 선물을 받게 되는 날은 언제일까 헤어보니 이십 여년 후의 일이다. 아빠가 그날까지 오래오래 이 작품을 잘 간직하고 있으면 흰 사슴과 숲은 그의 딸에게 좋은 인성을 키워주는 선생님이 될 것이다. 연둣빛의 숲, 숲을 비추는 햇빛, 햇빛과 대화하는 나뭇잎, 숲에 가득한 맑고 신선한 공기, 오래도록 걸어보고 싶은 길, 그 길 위에서 친구처럼 자신을 바라봐 주는 사슴. 이 모두가 딸에게 다른 무엇으로도 해낼 수 없는 긍정적 교육 효과를 가져다줄 것이라 믿는다. 딸은 이 작품과 함께 잘 성장하여, 출가할 때는 아빠로부터 이 작품을 선물로 받아 독립하게 될 것이고 그러면 또 자신의 아이에게 사슴을 선물처럼 전해줄 것이었다.

예술 작품은 그 가치를 돈으로 환산하기도 어렵다. 아무리 많은 돈으로도 쉽게 모실 수 없는 훌륭한 선생님이다. 우리에게 생명을 가르치는 숲과 같은 존재로 우리에게 또 다른 혼을 불어 넣는다. 류작가의 이 그림은 예술의 그런 높이를 우리에게 대면하는 실재로 생생하게 보여준다.

사슴은 원래 황색 계통의 털을 가졌는데 드물게 흰 사슴이 발견된다고 한다. 흰 사슴이 태어날 확률이 10만 분의 1이라고 하니 우리가 흰 사슴을 직접 볼 수 있게 되는 것은 행운 중의 행운이 아닐 수 없다. 그래서 작가의 작품에서 흰 사슴은 행운의 메타포다. 순백의 피부색처럼 순결한 행운이 작품을 감상하는 사람을 바라본다. 행운인 자기에게 오라고 말하는 듯하다. 뒤처지는 나를 기다리는 듯한 눈빛을 가진 사슴이 나에게 어서 자기 쪽으로 걸어오라고 한다. 그 행운의 사슴이 나를 데리고 숲속 길을 더 깊은 곳까지 계속 걸어가 보고 싶어 한다. 작가가 그린 숲이 우리가 살고 싶은 삶의 환경이라면, 숲속에 난 길은 그런 환경을 선택해야 비로소 행운이 찾아올 수 있다는 메시지가 아닐까? 류재현 작가 자신이 화가로서 자기 삶의 중심을 다시 세웠듯이 우리도 자신이 진짜로 살고 싶어 하는 인생의 길을 선택해야 하지 않을까? 원하는 삶의 길로 들어서기로 결단을 하고 실행을 할 수만 있다면 그 길에는 반드시 행운의 사슴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흰 사슴을 진짜 대면하는 순간은 바로 그런 때다.류재현은 생명의 실사로 실재와 상상을 하나의 화폭에 빛으로 붙들었다. 참으로 따뜻하고 아름다운 세계다.

박상윤 _ 중국 상해 ‘상윤무역 yoonet’ 회장. 2015년에 미술의 세계를 새롭게 만나 상해에서 ‘윤아르떼’ 갤러리를 운영하고 있다.
로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