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후취월(猿猴取月)
원숭이가 바라보고 잡으려는 달은 물에 비친 허상이요. 스스로의 분수를 망각하고 욕심에 눈이 멀어 달을 잡으려다 결국 물에 빠져 죽음을 면치 못하리.
당신이 바라보는 달은 물에 비친 허상인가, 아니면 도달할 수 있는 실체인가.
고사성어는 물에 비친 달을 잡으려 했던 원숭이의 모습을, 반대로 한자 원문은 이상의 도달, 즉 달을 잡은 원숭이로 표현하고 있다.
나는 하나의 고사성어 속 이처럼 상반된 해석을 동시에 담고 있는 양면성을 통하여, 닿을 수도 혹은 닿지 못할 수도 있는 이상을 쟁취하기 위해 나아가는 인간의 삶과 마주하였다.
이번에 본격적으로 선보이는 ‘비움’ 시리즈는 ‘쟁취’에 대한 의지와 집념을 담아내었던 이전 작업들과는 달리, 스스로를 비움으로써 진정한 이상에 도달하는 ‘깨달음’을 근본으로 하고 있다.
이는 어떠한 형체에 사로잡히거나 갇히는 것을 벗어나며, 다가오는 시간과 모든 자연의 흐름을 온전히 받아들이는 해탈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마음속에 그려놓은 어지러운 그림을 백지화 한다면, 신께선 과연 어떤 우연이란 절경을 그려주실까? 그때 마주한 우연이야말로 우리들 각자의 운명 속에 존재하는 진정한 이상과 마주하는 순간이라 나는 생각했다. 이로써 나는 몸부림치는 스스로의 모든 상념을 스크래치로 태움으로써, 그 속에 가려 보이지 않던 그토록 찾아 헤맨 이상으로의 문과 마주한다.
알루미늄 철판 위에 표현된 스크래치 드로잉의 경우, 고사성어의 양면성을 상징하는 달과 물의 표면, 그리고 깨달음을 담은 타오르는 불의 형상을 작가의 조형 관념으로 해석한 결과물이다. 보이는 위치와 각도의 따라 철판 위에 자유로이 표현된 기하학적인 드로잉 라인이 빛을 흡수하고 반사하면서 신비롭게 보이도록 하였고, 이를 통해 작가 고유의 관념미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또한 이는 우리 인류가 가진 생명의 에너지. 작가 본인의 격정적인 삶의 모든 순간을 담아낸 힘의 골자다.
나는 관객에게 물과 달이라는 환영(幻影)과 이상(理想)의 경계에서 펼쳐지는 인고의 시간 속, 우리들이 갈망하며 달려가는 그 종착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철판 위에 각인된, 생명의 에너지로 가득한 인류의 이 아름다운 도전과 바람의 끝은 과연 어떤 모습일까.
나는 오늘도 스스로를 태우고 비움으로써, 하늘에게 붓을 맡겨본다.
스스로를 태우고 백지화하여 진정한 이상으로.. 비움, 타는 남자.
철판 스크래치 작가. 장정후 작가의 개인전 ‘비움, 타는 남자展’이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의 송미영 갤러리에서 지난 9월16일부터 30일까지 열렸다.
알루미늄 철판 위에 오일 페인팅 후, 스크래치 드로잉을 통해 장정후 작가만의 유니크한 조형 관념으로 해석한 다양한 작품들이 선보여졌다.
이번에 본격적으로 발표한 ‘비움’ 시리즈는 스스로를 비움으로써 진정한 이상에 도달하는 ‘깨달음’을 근본으로 하고 있다. ‘쟁취’에 대한 의지와 집념을 이상으로 담아내었던 이전 작업들과는 다르다.
장정후 작가는 "마음 속에 그려진 어지러운 그림을 백지화 한다면, 신께선 과연 그 위에 어떤 우연이란 절경을 그려주실까"라며 “스스로의 모든 상념을 스크래치로 태움으로써, 그 속에 가려 보이지 않던 진정한 이상으로의 문과 마주한다”고 말한다.
장정후 작가는 개인전 7회 및 26회의 그룹전 등 활발하게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또한 영화 ‘퇴마: 무녀굴’에 작품 협찬뿐 아니라, 홍콩 컨템포러리 아트쇼, 싱가포르에서 어포더블 아트페어 등 5회의 아트페어에 참석했다.
2013년에는 제3회 JW중외그룹 Young Art Award 조각 부분 입선과 제11회 서울미술대상전 조각 부분 장려상을 수상했다. 또 2014년에는 카우지 미술대상을 차지하는 영예를 안았다.
http://www.artgnews.com/news/33900